한일부부의 육아

돌잔치란??유래도 알아봤어요

우리 아기도 돌이 되고 돌잔치를 했어요.돌잔치의 유래,의미도 궁금해져서 알아보고 정리 해봤습니다.

12개월이 된 아기를 축하하는 돌잔치

전통적인 돌상치도 있지만 우리는 일본 방식도 같이 하고 집에서 하고 음식도 많이 못 먹기때문에 간단하게 준비했어요

돌잔치 유래

돌잔치는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맞는 생일을 축하하는데 옛날은 질병과 유아의 사망율이 높았을 당시에 아기가 첫 돌을 넘기기가 쉽지 않았어요. 그래서 첫 돌까지 살아 있다는 것이 큰 고비를 넘긴것으로 생각하기때문에 돌잔치는 이를 축허하고 병도 없고 건강하게 오래 살길 바라는 행사에서 유래 되었어요

돌잔치의 역사

돌잔치는 옛날 오래전부터 있었다고 기록이 있나봐요. 조선시대 정조 15년6월에 궁중에서 돌잔치를 벌었다는 기록이 있고 이수광의 지봉유설 인사부 생산편에는 중국의 안씨가훈을 인용해서 오래전부터 한국 돌잔치의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예전은 아기의 복록 하고 장수를 축원하는 치성을 드리고 아기를 위한 돌옷을만들어서 성장 시키고 돌상을 차려서 돌잡이도 합니다

돌음식을 만들어서 친척과 이웃에게 나누어주기도 하고 돌음식을 받은 하객은 그 아이에게 복록 하고 장수를 기원하며 답례 하고 인사의 선물을 줬다고 합니다

루나짱

지금은 뷔폐 같은데에서 하거나 방식은 심플해졌지만 기본적인 주고 받은것들은 비슷하나봐요

돌상 차리기

전통적인 돌상차리기에 경우는 떡 하고 과일이 중심이며 떡의 종류만해도 12가지가 넘어요.떡은 주로 백설기,찹쌀떡,송편,인절미,무지개떡,수수경단등 있어요.

떡 종류마다 의미를 갖고 있어요

  • 송편 속이 꽉 차라는 뜻입니다
  • 백설기 아기의 깨끗함, 신성함을 기원하고 오래 살기를 바라는 뜻입니다
  • 인절미 단단하고 끈기 있고 굳세라는 뜻입니다
  • 수수팥떡,수수경단 나쁜 기운을 막고 덕을 쌓으라는 뜻입니다
  • 쌀, 흰 실타래 오래 살고 복을 많이 받으라는 뜻입니다

수수팥떡, 수수경단은 귀신이 붉은 색을 싫어해서 사귀의 출입을 막아서 병이 없고 액을 면하려는 토속적인 믿음도 담고 있다고 해요

돌잡이는 일본에도 비슷한 풍습이 있어요!비교 해봤습니다

한국 하고 일본의 돌잡이를 알아봤습니다 옛날은 아이가 무사히 첫 돌을 맞이하고 기념으로 건강하게 잘 자라라는 의미로 돌잔치를 했는데 요즘에는 기존 돌잔치 의미를...

어떤시대도 방식이 달라도 축하는 마음은 하나

방식은 변해도 옛날부터 해오는 행사는 부모님이 아기를 사랑 하고 앞으로도 건강하게 오래 살길 바라는 마음이 있어서 지금까지 있던것 같아요

아기를 보는 마음은 어느 시대도 같은것 같아요어떤 방식으로 하든 아기를 생각하고 기원하는 마음이 있고 잘 챙겨주면 충분하는것 같아요.우리에게 잘 맞추는 방법으로 편하게 해도 괜찮는것 같아요😊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APTCHA